본문 바로가기

여가생활/책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현자 <마키아벨리>


'우리는 모두 마키아벨리의 조언을 들어야 하는 약자다.

마키아벨리는 강자에게 당하지 않고 사는 법을 

자인 우리들에게 은밀히 속삭이고 있는 것이다.'


 오랫동안 자기계발서들은 '선'이라는 것을 바탕에 두고 이야기 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언

제나 기본이 가장 중요한 것을 알지만 독자들은 무엇인가 신선한 것을 원했고, 그로인해 종종 

언급되는 사람중에 '마키아벨리'가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이다. '군주론'이라는

책으로 유명한 마키아벨리는 그 속에서 발취한 몇몇의 특정한 사상이 알려지면서 잔인하고, 부

도덕하며 야비한 수를 옹호하는 사람이 되어버렸다. 물론 인용을 할 때 상황에 맞게 써서 이점

을 취하라는 의미를 전달해주지만 결국 그에게는 부정적인 인상이 남게 되었다.


 군주론을 제대로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서정욱님의 '철학, 불평등을 말하다'에서 살짝 소개되었

던 군주론을 통해 대략 어떤 내용인지에 대해서만 알고 있는 상태에서 저자 김상근님의 '마키아

밸리'를 만나게 되었다. 단순히 그가 저술한 책들에 대한 내용이 일대기에 가까운 내용의 책인

것 같아 기대를 많이 했다. 책은 마키아벨리가 오명을 갖게된 배경부터 시작해서 '군주론'이 탄

생하기 까지 그가 겪어야 했던 일들, 이후 다시 정립된 그의 사상까지 인생 전반에 걸쳐 사실에 

입각한 기록을 바탕으로 구성된다.


 풍전등화의 상태인 나라에서 태어나 제2서기장에 오를 정도로 실력이 뛰어났던 그는 위기의 순

간마다 기량을 발휘하며 많은 경험을 쌓게 된다. 그런중에 여러 지도자들을 만나게 되면서 군주

로써 가져야 할 덕목들, 절대 가져서는 안되는 것들, 상황에 따라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를 경험

을 통해 습득한다. 하지만 실세가 바뀌면서 하루아침에 죄인으로, 직업을 박탈당하게 된다. 이

후 다시 자신의 재능을 살리기 위해 실세인 메디치가문에 잘보이기 위해 만든 책이 바로 '군주

론'이다. 비록 군주론이 군주가 가져야할 것들에 대한 책은 맞지만 그 속에는 그가 자신이야 말

로 그러한 군주를 만들수 있는 사람임을 알아달라는 내용의 책이었던 것이다.


 이번에 책을 읽으면서 새롭게 안 사실중 하나가 마키아벨리는 살아생전에 희극작가로도 유명

했다는 것이다. 심혈을 기울였던 작품인 '군주론'이 버림받으면서 공직의 꿈을 접은 그는 자신

의 처지를 각색해 희극작품을 써 큰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그는 강자의 논리에 휘둘리는 약

들에게 '진리에 도달하는 방법'을 보여 주기 위해 코미디를 선택한 것이다. 이처럼 거

장 마키아벨리는 우여곡절이 많은 인생을 살았다.


'이제 분명히 알았네.

세상을 즐겁게 하는 모든 것이

한바탕 짧은 꿈일 뿐이라는 것을.


 그렇다면 마키아벨리는 어떻게 이런 통찰력들을 얻게 되었을까. 그는 언제나 고전을 곁에 두고

살았다고 한다. 하루가 지나기 전에 좋은 옷을 꺼내 입고 그리스-로마 고전을 꺼내 읽었다. 그런

과정을 통해 시공을 벗어나 대가들과 대화를 나누며 많은 것을 깨닿게 된 것이다. 


 이렇게 멋진 '마키아벨리'를 이제라도 바로 알게돼서 정말 다행이다.


 

"해당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